본문 바로가기

osi2

OSI와 TCP/IP의 전송 프로토콜 표준 및 계층별 비교 TCP/IP 모델은 네트워크 간에 위치한다는점, 비연결성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s)를 제공한다는 점, 자원들의 사용에 대한 관리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OSI 참조모델과 크게 다르다. TCP/IP 모델은 프로세스, 호스트, 네트워크로 통신시스템을 구성하여 크게 프로세스가 구동되고 있는 호스트로의 정보 전송을 관리하는 일과 호스트내에서 정보가 정확한 프로세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을 수행한다. 1. 네트워크 접근 계층 - OSI모델의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계층의 일부와 동일하며, 프로토콜은 통신망으로의 접근 기능을 제공 수행기능으로는 흐름제어(flow control), 호스트간의 오류제어(error control), 보안(security), 우선순위(priority .. 2015. 8. 5.
OSI 7계층 OSI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된느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계층들은 하드웨어로, 상위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각 계층별 설명 계층1-물리계층(physical layer) 특정한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사양이 있는곳이며 유일하게 하드웨어와 관계된 계층 계층2-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2015.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