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기/OS, network, programming ...

OSI 7계층

by DA_DA 2015. 8. 5.

OSI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된느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계층들은 하드웨어로, 상위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각 계층별 설명

 

 

계층1-물리계층(physical layer)

특정한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사양이 있는곳이며 유일하게 하드웨어와 관계된 계층

 

계층2-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계층2 소프트웨어는 프론트 엔드 프로레서(front end processor), 네트워크 노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장치에 저장

물리적 통신경로를 설정 하고 제어함. 계층2 안에서 전송오류 검출, 데이터 손상, 데이터 분식, 또는 메시지 중복등의 문제를 해결하게 됨.

 

계층3-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어드레싱과 라우팅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

 

계층4-전송계층(transport layer)

최종사용자들 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유지시켜주는 역할

 

계층5-세션계층(session layer)

전송계층에서 대화(dialogue) 관리기능과 오류 회복기능을 추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세션에서의 이동, 데이터흐름제어, 연결해제 시에 재시작을 위한 규제들을 시행하므로 데이터 흐름제어 계층(data flow control layer)이라고도함

 

계층6-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보편적인 데이터 조작 기능들을 제공(형식화(formatting, 압축(compression), 암호화(encryption) 등)

 

계층7-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원격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서 아래계층으로 보내기전에 주어진 포멧으로 변형시킴.

네트워크 관리기능과 분산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tools)들을 가지고 있음.

반응형

'공부하기 > OS, network, programming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스크립트]  (0) 2017.05.29
공부하기 좋은 사이트  (0) 2017.05.25
프로세스  (0) 2015.09.24
보안 관련 사이트  (0) 2015.09.24
OSI와 TCP/IP의 전송 프로토콜 표준 및 계층별 비교  (0) 2015.08.05

댓글